회사원에게 경영자마인드 성장은 기대하기 힘듭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경영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비지니스마인드를 직장을 다니는 회사원의 신분으로는
얻을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책임이 없기 때문입니다.
실패를 한다해도 결국 책임은 경영자가 지게 됩니다. 의사결정도 경영자의 몫입니다.
책임을 지지 않는 업무를 반복해서 한다해도 경영자적 마인드의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결국 책임자는 경영자다
- 독립한 1인기업대표 → 실패한다, 투자금을 잃는다, 모든 책임은 자신에게 있다
- 샐러리맨의 경우→ 실패한다 , 월급은 고정급으로 지급된다, 욕은 먹겠지만 책임을 지지는 않는다
샐러리맨이라도 자신의 포지션과 직책에 따라서는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경우도 있겠습니다만 대부분의 직장인의
경우 책임을 지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성장을 저하시킨다
열심히 해도 열심히 하지 않아도 월급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는 순간 업무량이 많아지는 것을 손해라고
판단하게 됩니다.
회사의 경영자에게 있어서는 「일이 늘어난다=수입이 늘어난다」 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녁이든 주말이든
미친듯이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직장인에게 「일이 늘어난다=수입은 늘어나지 않는다」 가 됩니다. 일이 늘어나면 몸이 피곤해지고 힘들어
집니다.
경영자마인드를 갖고 싶다면 독립하자
월급은 마약과도 같습니다. 매월 일정한 고정급이 입금되는 것은 기분이 좋은 일이기는 합니다만 반대로 그 생활에
만족하고 적응해 버리면 평생 샐러리맨으로 살다가 가는 인생이 됩니다.
절대 백만장자, 천만장자가 될 수 없습니다.
독립하여 자신의 힘으로 비지니스모델을 구축하여 사업을 진행하면 불안도 있겠지만 세상을 보는 시야가 분명 넓어질
것입니다.
인간은 환경의 노예일지도 모른다
본질적으로 「직장인 vs 독립」 의 논쟁은 의미가 없는 일일 수도 있습니다만 지금 현재 본인이 처한 환경이 어떠한 지에
따라 그 사람의 인생이 달라지는 것은 분명합니다.
직장인이라도 좋은 환경이라면 사업가마인드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독립하여 자신의 사업을 영위한다고 해도
환경이 나쁘다면 성장이 더딜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도 직장을 다니는 것보다 독립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성장의 속도 및 질이 높을 것입니다.
우선 본인이 처한 지금의 환경을 돌아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 재직중인 회사나 현재 영위중인 사업체에서 자신이 성장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시고 성장이 힘들다고 느꼈다면 이직을 하든 독립을 하든 비지니스모델을 바꾸든 환경을 바꾸든지 해서 성장가능한 환경으로 가셔야 합니다.
비지니스세계에서의 궁극적인 안정은 직장에서 월급을 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스킬을 만들어서 다듬어 나감으로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재는 회사에서든 독립해서든 살 수 있습니다.
환경이 나쁘다면 빨리 바꾸자
마지막으로 「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스스로 이동하자」에 대하여 이야기 하려 합니다.
- 성장환경이 나쁜 직장 → 환경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 어렵다 & 상사나 동료들에게 찍힐 수도 있다
- 성장환경이 나쁜 직장 → 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포기한다 → 성장가능한 환경으로 이직한다
환경이든 인간관계든지 자기자신 이외의 것을 컨트롤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성장환경이 나쁘다면 스스로 이동
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
성장이 어려운 환경에서 그냥 참고 매달 나오는 월급만 바라보고 매일 똑같은 생활을 반복해서 사는 것이 당신의 어릴쩍
꿈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지금 당신은 어떠한 환경에서 일하고 계십니까.
'샐러리맨'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시대 행복론】행복하게 사는 법 (0) | 2019.09.26 |
---|---|
머리 좋은 사람의 생각법【컨설팅형 사고법에 대하여】 (0) | 2019.09.25 |
【회사 업무스트레스에 지칠 때】 무리하지 마세요 (1) | 2019.08.31 |
일하기 싫을 때 【업무에 지쳐버린 분들에게】 (1) | 2019.08.24 |
회사에 출근하기 싫을 때 【심각하게 생각해 봐야 하는 점】 (1) | 2019.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