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에 창업하여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빠른 행동】
20대에 사업으로 성공한 사장님들 중에서 직장생활을 2년이상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20대에 자기사업으로 독립한 사람의 대부분은 「더 빨리 사업을 시작했었어야 하는데」 라고 말하는
것을 듣습니다.
20데어 창업하여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공통점은 「행동이 빠르다」 뿐 입니다.
회사에서의 경험은 창업에 큰 도움이 안 될 수도 있다.
- 직장인이 일하는 법 →기본적으로 지시 받은 업무를 실천한다. 주체적으로 어느 정도 권한을 받기도 하지만 경영에 관한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지 못한다.
- 경영자가 일하는 법→기본적으로 모든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 어느 프로젝트에 어느 정도 예산이 필요한 지 파악하고 집행이 가능하다.
대략적으로만 적으면 상기와 같습니다. 초엘리트사원이라고 해도 경영자로써 자기자업을 했을 때 성공
하느냐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일입니다.
반대로 말씀드리면 경영자들은 자기주장이 강한 사람이 많아서 직장인으로써는 적응하기 힘들지도
모르겠습니다.
성과를 내고 싶다면 빨리 독립해야 한다.
어디까지나 제 생각일 수도 있습니다만 제 부변에서 성과를 내고 부를 창출해내고 있는 사람들을
관찰해보면 20대의 어린 나이에서부터 경영자로써의 경험을 쌓아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빠른 독립 or 프리랜서로써 수익창출」 을 실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독립은 힘들 수 밖에 없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족이 있으므로 실행이 힘들어 진다.(매달 일정한 수입을 잠시 포기해야 하는 리스크)
- 체력의 저하
- 사고능력이 직장인으로 고정화 되버렸다.
「체력의 저하」 이 문제가 크게 다가 옵니다.
창업초기에는 혼자 많은 업무를 담당해야 하므로 「살인적인 노동시간」 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약 「1〜2년」 은 살인적업무강도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된다.
이 시기를 넘으면 어느 정도 안정되는 시점이지만 젊지 않다면 체력이 버틸 지는 의문이다.
실패를 한다해도 리스크가 크지 않다.
행동할 때는 「최악의 경우」를 대비하는 것이 좋다. 보통 「창업에 실패하면 빚쟁이에 쫒긴다.」 라고
말하지만 사실 그렇지많도 않습니다.
물론 여기저기서 돈을 끌어 와서 무리하게 사업을 진행하다 망하는 경우에 그 책임으로써 엄청난 채무가
발생하겠지만 젊은 나이에 그렇게 리스크가 큰 사업을 처음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적은자본-적은리스크 로 작게 시작해 나가면서 경험을 쌓고 점점 사업을 크게 늘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요즘은 돈을 잘 벌버는 1인기업가도 많습니다.
창업이란 정말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할 수 있습니다.
20대의 창업성공은 인터넷에 있다.
어린 나이에 도전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인터넷」 과 「시대의 흐름」 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변화가 많은 영역이 아니면 젊은 사장의 성공은 어려울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인터넷영역이 아니라면 이론적으로 생각해 볼때 큰 성공은 힘들수도 있습니다.
IT영역은 변화가 많습니다. 변화가 많다는 것은 그만킄 「밑에 있는 사람이 위로 올라갈 수 있는
찬스가 있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대에 잡지사를 창간하여 성공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으로 잡지사를 창간하는
것은 성공할 가능성이 종이잡지보다는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성장이 멈춰진 영역에서의 싸움은 힘들다.
성장동력이 멈춰진 업계에서의 창업은 추천하기 힘듭니다.
이유는 이익창출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 커피숍,치킨집창업→초기비용이 적지 않습니다. 경쟁상대가 너무 많습니다. 대기업계열도 업계에 진출.
요즘같이 창업하기 쉬운 시기도 없었다.
매일같이 느끼는 것이지만 참 편리한 세상입니다.
블로그로 수익을 얻거나 YouTube로 자신의 생각이나 철학을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공개해도
돈을 벌수 있습니다.
YouTube채널구독자가 10만명을 넘으면 편차는 있겠습니다만 월1,000만 이상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더욱 기쁜 사실은 리스크도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노리스크로 시작하여 하이리턴을 기대할 수 있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는 것입니다.
결론:빨리 독립하여 시행착오를 경험해 보자.
인터넷으로 돈을 버는 사람들을 보면 「운이 좋아서 겠지・・・」 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만 그 분들의
인터뷰나 책을 읽어 보면 과거에 여러 경험을 했고 다양한 도전을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성과를 내기 원한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빨리 도전하고 젊은 나이에 실패도 경험해 보시고 다음단계로 레벨업」 하시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창업하신 분들의 말씀을 들으면 창업 후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초창기에 힘들었는 것들이 점점 줄어
든다고말씀하십니다.
창업1년째가 가장 힘들었고 그 시기를 넘기자 점차 매출도 안정되었고 인생도 즐길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성공한 기업이야기는 다른 사람들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 분들이 해내었다면 우리도 할 수
있습니다. 바로 오늘부터 할 수 있는 일들을 시작하여 행동으로 옮기시기 바랍니다.
오늘이 시작일 입니다.
감사합니다.
'1인기업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행성 1인기업가 「장기적으로 매출감소」 로 이어진다. (0) | 2019.08.06 |
---|---|
1인기업 생산성 높이는 방법 [3가지 해결책] (0) | 2019.08.05 |
1인기업가에게 중요한 5가지 요소에 대하여 (0) | 2019.08.04 |
불안해소 방법 【1인기업 대표가 불안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입을 늘려야 한다.】 (0) | 2019.08.03 |
나 자신을 위해 일한다면 모두 행복해 집니다.【인생을 즐겁게 만족하며 보내자】 (0) | 2019.07.06 |
댓글